|    1. 적용범위
  이 규격은 열간 압연 또는 단조에 의하여 제조된 탄소 공구강(이하 강재라 한다)에 대하여 규정한다.     2. 종류
  강재는 7종류로 하고 그 기호는 [표1]에 따른다.  *[표1]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종 류 | 기 호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종 2종
 3종
 4종
 5종
 6종
 7종
 | STC 1 STC 2
 STC 3
 STC 4
 STC 5
 STC 6
 STC 7
 |   3. 제조방법
 - 강재는 킬드 강으로부터 제조한다.- 강재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련 성형비 4 S 이상으로 압연 또는 단조하여야 한다.
 다만, 강재 치수 관계에서 4 S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, 업셋팅 포징(upsetting forging)에 의하여 보충할 수 있다.
 - 강재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어니일링을 하여야 한다. 다만, 강판 및 강대는 특히 지정이 없는한 그대로 한다.
  4. 화학성분
  강재의 화학 성분은 레이들 분석에 의하며, 그 값은 [표2]에 따른다.  *[표2]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기호 | 화 학 성 분 % | 참고 용도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C | Si | Mn | P | S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STC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30~1.50 | 0.35 이하 | 0.50 이하 | 0.030 이하  | 0.030 이하  | 칼줄, 벌줄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STC2  | 1.10~1.30 | 0.35 이하 | 0.50 이하 | 0.030 이하  | 0.030 이하  | 드릴,철공용 줄,소형펀치, 면도날, 태엽,쇠톱
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STC3  | 1.00~1.10 | 0.35 이하 | 0.50 이하 | 0.030 이하  | 0.030 이하  | 나사가공 다이스, 쇠톱, 프레스 형틀, 게이지, 태엽, 끌, 치공구
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STC4  | 0.90~1.00 | 0.35 이하 | 0.50 이하 | 0.030 이하  | 0.030 이하  | 태엽,목공용 드릴,도끼,끌,메리야스바늘, 면도칼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목공용 띠톱,
 펜촉, 프레스형틀, 게이지
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STC5  | 0.80~0.90 | 0.35 이하 | 0.50 이하 | 0.030 이하  | 0.030 이하  | 각인, 프레스형틀, 태엽, 띠톱, 치공구, 원형톱,
 펜촉, 등사판 줄, 게이지 등
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STC6  | 0.70~0.80 | 0.35 이하 | 0.50 이하 | 0.030 이하  | 0.030 이하  | 각인, 스냎, 원형톱, 태엽,프레스형틀, 등사판 줄 등
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STC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0.60~0.70 | 0.35 이하 | 0.50 이하 | 0.030 이하 | 0.030 이하 | 각인, 스냎, 프레스형틀, 나이프 등
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비고 어니일링을 하지 않은 강재에 대하여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3의 어니일링을 한 후 퀜칭 템퍼링을 한다. |   5. 어니일링 경도
  강재의 어니일링 경도표는  표 3에 따른다. *[표3]다만, 브리넬 경도의 측정이 곤란한 강재에 대하여는    로크웰B 경도 또는 비커스 경도에 따를 수 있다.
 이 경우, 경도의 수치는 주문자와 제조자 와의 협장에 따른다.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종류의 기호 | 어니일링 온도 C | 어니일링 경도 HB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STC 1 STC 2
 STC 3
 STC 4
 STC 5
 STC 6
 STC 7
 | 750~780 서냉 750~780 서냉
 750~780 서냉
 740~760 서냉
 730~760 서냉
 730~760 서냉
 730~760 서냉
 | 217 이하 212 이하
 212 이하
 207 이하
 207 이하
 201 이하
 201 이하
 |   6.퀜칭. 템퍼링경도
  퀜칭. 템퍼링 경도 강재를 대표하는 시험편에 표4에 표시한 온도범위 내의 범위 내의 적당한  
						온도를 선정하여 열처리를 한 경우의 퀜칭.템퍼링 경도는  [표4]에 따른다.  *[표4] 시험편의 퀜칭 템퍼링 경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기호 | 열처리°C | 퀜칭, 템퍼링 경도 HRC
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퀜  칭 | 템 퍼 링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STC 1 STC 2
 STC 3
 STC 4
 STC 5
 STC 6
 STC 7
 | 760~820 수냉 760~820 수냉
 760~820 수냉
 760~820 수냉
 760~820 수냉
 760~820 수냉
 760~820 수냉
 | 150~200 공냉 150~200 공냉
 150~200 공냉
 150~200 공냉
 150~200 공냉
 150~200 공냉
 150~200 공냉
 
 | 63 이상 63 이상
 63 이상
 61 이상
 59 이상
 57 이상
 56 이상
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비   고: 어니일링을 하지 않은 강재에 대하여는 표3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어니일링을 한후 퀜칭 템퍼링을 한다. |   7. 외관 및 모양, 치수 및 그 허용차
   열간 압연 원형강- 겉모양 열간 압연 원형강의 겉모양은 마무리가 양호하고 사용상 해로운 흠이 없어야 한다.
 |